교육이 컴컴하다고 생각했다. 8학군에서 아이를 키웠지만 그 환경이 대단히 만족스러웠노라고 말할 수 없었고. 세월이 앞구르기를 해도 교육은 제자리는 커녕 뒷구르기하는 것만 같았다. 최근에 일어난 청소년들의 참담한 사건들은 마음을 더욱 그늘지게 했다. (...)
정말 놀라운 것은 선생님들은 배운 것들을 바로 아이들에게 적용한다는 건데, 선생님 한분이 지닌 힘이란 실로 엄청난 것이로구나 실감했다. 아이들에게 좀 더 좋은 게 없을까 끊임없이 고민하고 배워가는 좋은 선생님이 너무 많았다.
선생님은 더는 배우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교과 위주의 입시 교육, 창의력이라곤 없는 주입식 교육으로 똑같은 수업을 되풀이하는 게 아닐까 하고. 물론 입시 제도가 있는 한 교과목 공부와 성적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안된다.
인공 지능 시대를 더 잘 살아내기 위해 감성 지능, 공감 역량이 더욱 중요해졌고. 바로 그걸 깨우치는 예술 수업을 배우겠다고 선생님들이 직접 나선 것이다. 우리가 먼저 배우고 깨달아야죠, 그래야 아이들에게 줄 수 있어요. 퇴근 후 피곤한 몸으로도 아이들처럼 눈을 빛내며.
중동고의 이재영 선생님은 예술 수업 수료후, 학교 선생님들과 함께 새벽에 그림으로 글을 쓰는 모임을 진행한다. 66일동안 새벽에 그림으로 글을 쓴다고 하는데, 와! 진짜 예술로 세상을 바꿀 분들이다. 그리고 아이들 자성(自省) 교실과 다양한 예술 수업을 진행하는데 학교에 소문이 났다고.
선생님은 중동고 아이들 대상으로 저자 특강과 한국미술재단 현장 탐방 수업을 기획하셨다. 학업 위주로만 돌아가는 고등학교에서 하기 쉽지 않은, 더군다나 강남 복판의 학교에서는 더욱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
전체 보기)